센텀마취통증의학과에서는 첨단장비를 이용한 정밀진단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환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한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오차없는 치료를 지향합니다.
이상근은 천골(꼬리뼈)에서 시작되어 대퇴(허벅지바깥쪽)에 붙는 고관절의 근육입니다. 이상근이 주행하는 방향과 교차하여 좌골신경(요추신경 4번,5번, 꼬리뼈신경 1번,2번이 모임)이 다리 밑으로 주행하는데, 이 신경이 경직된 이상근 근육에 압박(신경포착)되며 이것을 이상근 증후군에 의해 생기는 좌골신경통이라고 합니다.
이상근으로 인해 생기는 좌골신경통 증상이 발생할 경우 FAIR TEST, SLR TEST(하지직거상검사)라는 감별 수기 검사로 이상근증후군과 허리에서 내려오는 디스크 증상과 감별하여 진단합니다.
기존의 보존치료(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신장분사, 프롤로, 투약치료 등)에 신경통증완화가 없는 환자에서 이상근증후군 진단 후 C-ARM 이라는 실시간 신경차단술 장치를 이용해 정확한 부위를 조영제로 확인 후 보톡스를 주입하여 이상근 경직의 이완 및 이상근으로 인해 발생했던 증상들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상근은 근육량이 많아 보톡스의 양이 많이 사용되며 보톡스 효과가 1~5주에 걸쳐서 서서히 나타납니다. 또한 아주 드물게 보톡스에 반응하지 않는 근육이 있을 수 있습니다. 효과가 최대치에 도달하면 평균 3달 정도 효과가 유지되다가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이 후 증상은 환자와 상의 하에 추가로 시술 가능성 있습니다.
이상근보톡스는 이상근증후군을 치료하는 비급여 치료입니다.
- 갑작스런 스트레칭 및 운동량 증가 (걷기, 뛰기, 스쿼트 등 하체운동, 요가, 필라테스 등)
- 양반다리로 오래 앉기
- 무릎을 벌리고 장시간 운전
- 우발적 사고 등으로 엉치를 부딪히는 충격 발생 시
- 옆으로 자고 일어난 후 심한 엉치통증 발생 시
- 지속적으로 PC 및 노트북 업무로 장시간 앉아있는 환경
- 다리 꼬아 앉는 습관
- 편측 또는 양측의 허벅지 바깥쪽, 뒤쪽, 사타구니 근육의 땡김, 저림, 이상감각(먹먹함, 모래 붙은 느낌, 찌릿함, 일정동작에서 번개치는 듯한 통증 등)
- 편측 또는 양측의 종아리 뒤 반복되는 경직, 땡김, 저림, 이상감각 등
- 편측 또는 양측의 발바닥 통증 및 이상감각 등
- 화장실에서 배변하거나 무거운 것 들 때, 기침 할 때, 순간적으로 복압이 증가될 때 엉치 및 허벅지로 방사되는 통증.
- 아주 드물게 좌골신경에서 분지되는 음부신경의 자극 및 압박으로 항문과 성기 주위 이상감각(여성 성교통증, 남성 : 발기부전)
- 약물 중독이 거의 없음
- 시술 시간이 짧고 회복이 빠름
- 약물 치료에 거부감이 있는 분에게 권장
- 보톡스 시술 후 아주 드물게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다리 힘빠지는 느낌, 당일 일시적 보행 불편 가능성 있음. 다음날 거의 대부분 정상기능으로 회복됨.